학습콘텐츠 내용(일타캉사 강의)
페이지 정보
영어시험닷컴 0 Comments 51 Views 25-09-22 13:35본문
학습 콘텐츠 내용(샘플)
•33. 수능 1등급 기출 문장단어(19/29/30/31/40번) 365 (24,000원)
15. The greatest risk (occurs) when an individual believes he knows all there is to know.
✅ <동사/동사구>
- occurs: 동사 occur의 현재형 → ‘발생하다’
- 주어 The greatest risk는 단수 → occurs (3인칭 단수 동사) 사용
- 주절의 중심 동사로, 언제 위험이 발생하는지를 설명
- believes: ‘믿다’ → that절 생략 구조로 *he knows...*가 목적어
- knows: ‘알다’ → he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 강조
✅ <단어/반의어/동의어> 설명
- occur (v.): 발생하다, 일어나다
- 동의어: happen, take place, arise, emerge
- 반의어: cease, stop, prevent, avoid
- risk (n.): 위험, 리스크
- 동의어: danger, threat, hazard, peril
- 반의어: safety, security, certainty
✅ <문법/문장구조> 설명
- 주어(S): The greatest risk
- 동사(V): occurs (단수 동사, 현재 시제)
- 부사절: when an individual believes he knows all
there is to know
- 시간의 부사절로, 언제 위험이 발생하는지 설명
- believes 다음에 he knows all there is to know는 간접 화법, that절이 생략된 형태
- all there is to know는 관계대명사 there is 구조로, ‘알 수 있는 모든 것’이라는 의미
✅ <출제 포인트 설명>
- 어휘 선택 문제
- (occurs) 자리에 starts, emerges, appears, is created 등의 오답 유도어 가능
- 그러나 문맥상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발생을 나타내는 occurs가 가장 적절
- 문법 포인트
- 주어 The greatest risk는 단수이므로 occurs가 맞고, occur로 착각할 수 있음 → 주어-동사 수일치 문제 출제 가능
- all there is to know는 관계사절 구조 이해를 요하는 고난도 문법 포인트
- 논리 흐름 문제
- '자신이 모든 것을 안다고 믿는 순간이 가장 위험하다'는 역설적 주제 → 철학/교육/자기 인식 관련 지문에서 자주 출제됨
✅ <독해>
- 해석:
가장 큰 위험은 한 개인이 자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믿는 순간에 발생한다. - 핵심 의미:
- 이 문장은 **무지에 대한 무지(unconscious ignorance)**의 위험성을 강조
- 자기 확신이 과도하면 학습의 정체, 오판, 오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교훈적 메시지 포함
- 적용 주제:
- 메타인지, 자기 인식, 교육학, 리더십, 심리학, 철학 지문 등에서 자주 등장 가능
•81: 수능 필수 암기 기출 문법/독해(목적/심경/주장/의미/요약/주제) 365(24,000원)
<문독 365>
Quite apart from the functional and moral components, the bathing costume
lacks the added value that refers to the environment of the opera (referential
aspect) such as elegance, festive quality or glamour.
However, the contemporary, flexible society no longer upholds the
vestmentary demands of space that nineteenth-century bourgeois society made,
and that continued to have an effect into the 1950s, for example evening wear
at the opera.
<동사/구동사> 설명
- lacks: ~이 없다, 결여하다.
- refers to: ~을 가리키다(구동사).
- upholds: 유지하다, 지지하다.
- made: 만들었다, 요구했다(여기서는 요구했다는 의미).
- continued to have: 계속해서 ~을 가지다.
<단어/반의어/동의어> 설명
- added value: 부가 가치.
- referential aspect: 참조적 측면.
- elegance: 우아함.
- vestmentary: 의복과 관련된.
- bourgeois: 중산층의, 부르주아의.
<문법/문장구조> 설명
- Quite apart from A, B …
- A와는 별개로 B라는 의미.
- 관계대명사 that이 value를 수식.
- 관계대명사 that이 demands를 수식.
- 예시 삽입 구문.
<출제 포인트>
- Quite apart from 표현 이해(논점 전환).
- 패션의 referential aspect 개념 파악.
- 역사적 비교(19세기 vs 현대)와 시제 차이 이해.
<독해>
기능적·도덕적 요소와는 별개로, 수영복은 오페라 환경과 관련된 우아함, 축제 분위기, 화려함 등의 부가가치를 결여하고 있다(참조적 측면). 그러나 현대의 유연한 사회는 19세기 부르주아 사회가 만들고, 1950년대까지도 영향을 미쳤던
장소에 따른 의복 요구(예: 오페라에서의 이브닝 웨어)를 더 이상 유지하지 않는다.
→ 핵심은 패션의 환경적 의미 상실과 시대 변화이다.
•85. 수능 1등급 기출 선택지 해석 자주 틀리는 함정 (20초 이내 정확한 해석: 21/23/24/32/33/34번, 2등급 상향) 1,000 (24,000원)
<3>
1. culture change cannot stop the tide of population growth
해석: 문화의 변화는 인구 증가의 거센 흐름을 멈출 수 없다.
문법/단어 설명:
- culture change: 명사구, "문화의 변화"
- cannot stop: 조동사 + 동사원형, "멈출 수 없다"
- the tide of ~: "~의 흐름" → 흔히 추상적 힘의 흐름(변화 등)을 의미
- population growth: "인구 증가"
2. a sparsely populated area will face various social challenges
해석: 인구가 희박한 지역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에 직면할 것이다.
문법/단어 설명:
- a sparsely
populated area: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
- sparsely: 부사, "드문드문하게, 희박하게"
- populated: 형용사적 과거분사, "사람이 거주하는"
- will face: 조동사 + 동사원형, "직면할 것이다"
- various social challenges: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
3. a small population growth can exhaust the fuel for innovation
해석: 적은 인구 증가도 혁신을 위한 연료를 고갈시킬 수 있다.
문법/단어 설명:
- a small population growth: "소규모 인구 증가"
- can exhaust: 조동사 + 동사원형 → "~을 고갈시킬 수 있다"
- exhaust: 동사, "다 써버리다, 고갈시키다"
- the fuel for innovation: "혁신을 위한 연료" (비유적 표현)
4. a population stable numerically is inherently unstable culturally
해석: 수적으로 안정된 인구도 문화적으로는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다.
문법/단어 설명:
- a population
stable numerically: 후치수식 구조 ("숫자적으로 안정된 인구")
- numerically: 부사, "수적으로"
- is inherently unstable: be동사 + 부사 + 형용사 →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다"
- culturally: 부사, "문화적으로"
5. so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